2번 글쓰기 =>징병제 의무복무자 40개월 학사장교 역사 [1페이지]
작성자 최고관리자

 

           2번 글쓰기 =>징병제 의무복무자 40개월  학사장교 역사  [1페이지]


[학사장교]

0.창설일=>육군 학사장교는 '문무를 겸비한 장교' 양성을 기치로 미국의 OCS/OTS 제도를 벤치마킹해 
                 1981년 6월 28일 창설되었다.

0.미국제도 참고=>미국의 OCS과정을 참고해 만든 사관후보생 과정으로 학사이상 학위취득후 양성하는 
                 장교과정을 육.해.공 모두 OCS이다.[Officer Candidate School(OCS)]

0.한국 학사장교=>군의과정 군목 간부사관 등 사관학교, 대학 재학기간 양성하는ROTC를 제외한 
                 모든 사관후보생 과정을 통틀어 OCS라한다
                 한국해군이 OCS를 그들의 고유명사인 것처럼 종종 이야기하는데 그것은 위에서 언급한 
                 OCS제도를 이해하지 못하고 이야기하는 것이다.

0.학사장교 자격=>학사사관(學士士官), OCS라고도 하며 학사 학위 이상을 소지한 자(또는 4년제 졸업예정자)가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국방부로부터 공인된 시험을 거쳐 소정의 군사 교육을 받은 뒤 장교로 임관하는 대한민국의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장교 양성 과정이다.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군사교육을 수료한 전원이 소위로 임관하는 게 원칙이지만 공인회계사시험변리사시험이나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5급 공무원 시험(행정고시기술고시외무고시입법고시법원행시) 합격자 등 일부 인원[1]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중위로 임관한다. 이들을 재정사관, 변리사관, 기본병과장교라고 하는데 임관구분상으로는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학사장교에 편입된다.

0.학사장교 필요성=>전시 병력 수요가 많아지면 그에 따라 장교의 수요도 같은 비율로 증가해야 하므로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병사를 징집할 경우 장교도 징집해야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.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세계 주요 국가의 장교 양성 시스템을 보더라도 미군의 OCS/OTS와 같은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사관후보생 제도를 운영하지 않는 나라는 매우 드물다.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전시에는 위관급 장교가 비교적 많이 전사하므로 학사장교 제도는 반드시 필요하다.

작성자=>대한민국 순직군인 유족회장
작성일=>2025년 9월 14일